본문 바로가기

심리학24

범죄심리학의 정의-3 7. 놀리기 : 스스로를 높이기 위해 누군가를 난처하게 만들거나 해를 끼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거짓말을 하거나 남을 깎아내림으로써 자신을 돋보이게 하려는 경우가 포함된다. 8. 과대 포장하기 : 다른 사람들의 눈에 자기 자신을 더 좋게 보이도록 만들기 위해서 자신의 공적과 능력을 과장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는 보통 자기 확신의 결여와 자존감의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즉 약한 자아를 보상하기 위한 행동일 때가 많다. 9. 가정하기(assuming) : 무언가를 당연하게 여기며 사전 확인 없이 그냥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일컫는다. 결국에는 부정확한 믿음을 기반으로 한 잘못된 결과를 야기하기 쉽다. 10. 자신이 특별하다는 생각: 자기 자신을 평균을 휠씬 넘어선 특별하고 독특한 존.. 2024. 2. 25.
범죄심리학의 정의-2 3. 사회학습이론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학습의 결과로 나타나는데,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이에 대해서 긍정적인 자극(보상 혹은 강화)을 받으면 그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고, 반대로 부정적인 자극(처벌)이 뒤따르면 그 행동의 빈도가 감소한다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이 직접적인 보상이나 처벌에 의해 결정된다는 행동주의 이론에서 한 단계 나아가, 단순히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에 의해서도 사람들의 행동이 변화한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의 공격성은 학습되는 것으로, 주로 가족이나 주변 환경, 대중매체를 통하여 폭력적으로 행동하는 타인을 관찰하는 경우 행동 모델링(behavior modeling)의 과정을 통하여 공격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즉, 모델링은 타인의 행동을.. 2024. 2. 25.
범죄심리학의 정의-1 범죄심리학은 개인의 내적 특성에 주목하여 범죄의 원인, 범죄자의 인지적ㆍ성격적 특성, 범죄 행동의 개인차, 범죄자의 치료 및 재범 방지를 통한 범죄의 예방 등 다양한 분야를 그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상현은 범죄심리학을 "범죄자에 대한 지식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체계화함으로써 범죄자를 보다 타당하게 이해하려는 데 목적이 있는 학문"으로 규정하고, "범죄나 비행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 중에서 심리학이 대상으로 하기 쉬운 문제에 관하여 심리학적 이론과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는 인문과학의 일부분"이라고 정의 내렸다. 보다 최근에 이수정은 범죄심리학을 "범죄자의 범죄 원인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이를 형사사법 분야에 적용하여 유무죄를 판단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확보하고 죄질의 경중을 판단하고 궁.. 2024. 2. 23.
범죄심리학 - 심리학의 정의와 목표 심리학은 인간의 정신과 행동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집단이나 사회가 아닌 개개인을 하나의 분석 단위로 하여 현상이나 행동의 원인을 개인의 정신 과정이나 사고 체계 등의 내적 특성에서 찾고자 한다. 이때 행동은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외적 행위로, 측정될 수 있는 신체적, 언어적, 사회적 행위를 모두 포함한다. 그에 반해 개인의 정신 과정이나 내적 상태는 기억, 사고, 신념, 가치나 태도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관찰이 불가능하지만,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있어 필수적 역할을 담당한다. 심리학을 과학적인 연구의 집적체로 간주하는 것은 심리학적 지식의 축적 과정이 인간의 정신과 행동에 대한 가설 설정과 함께 체계적인 자료 수집과 조사, 실증적인 검증을 거쳐 이루어지.. 2024.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