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범죄심리학의 정의-2

by 달빛러블리 2024. 2. 25.

3. 사회학습이론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학습의 결과로 나타나는데,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이에 대해서 긍정적인 자극(보상 혹은 강화)을 받으면 그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고, 반대로 부정적인 자극(처벌)이 뒤따르면 그 행동의 빈도가 감소한다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이 직접적인 보상이나 처벌에 의해 결정된다는 행동주의 이론에서 한 단계 나아가, 단순히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에 의해서도 사람들의 행동이 변화한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의 공격성은 학습되는 것으로, 주로 가족이나 주변 환경, 대중매체를 통하여 폭력적으로 행동하는 타인을 관찰하는 경우 행동 모델링(behavior modeling)의 과정을 통하여 공격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즉, 모델링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만으로 유사하게 행동하게 할 가능성이 증대된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성인이 인형을 대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모습을 담은 비디오를 시청하는 것은 아이들로 하여금 공격적인 행동을 유사하게 나타내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범죄로 인해 즉각적인 이득을 보는 누군가를 관찰하는 것은 관찰자로 하여금 공격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을 증대시킨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렇게 자신이 직접 보상을 받지는 않지만 타인이 보상받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이 변화하는 과정은 대리적 강화라고 불린다.

 

4. 사회인지이론
단순히 행동이 뒤따르는 보상과 처벌에 의해 행동이 결정된다는 학습 이론의 한계에서 벗어나서, 사회인지이론은 자극을 받아들이는 인간의 정신 과정, 특히 정보 처리와 인지적 해석 과정에 주목한다. 즉,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상대방의 언어나 반응을 해석하는 데 있어 왜곡되고 비관습적인 해석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적대적이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적 접근에 대해 거절을 표현하는 여성의 반응을 해석할 때 성범죄자는 "속으로는 좋으면서도 겉으로는 싫다고 표현하는 것이다"라는 자기중심적이고 왜곡된 인지적 오류를 범함으로써 성적으로 폭력적이고 강압적인 범죄 행동을
저지르게 된다.
Yochelson & Samenow는 수년간의 연구 끝에 범죄자들과 비범죄자들을 가장 잘 구분 지을 수 있는 것은 사회적, 환경적, 혹은 일반적인 성격 요소들이 아닌, 주로 사고방식에서의 차이점이라고 결론지었다. 범죄자적 성격 이론은 범죄자들이 자신이 무가치한 것으로 느껴지는 상태(zero state)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이러한 감정으로 빠져드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대인 간 상호작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과 그에 대한 반응에 대해 인지하는 사고 과정에서의 오류와 왜곡을 보이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궁극적인 범죄 행동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범죄자적 성격>
Yochelson & Samenow(1976)는 범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이나 대인 간 상호작용에서 범죄자들이 흔히 보이는 인지적인 왜곡이나 사고 과정에서의 오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1. 변명하기 : 변명은 책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수단이다. 범죄자들은 흔히 자신의 책임을 부인하기 위한 이유를 대며, 자신이 책무를 이행하는 데 실패한 것에 따르는 부정적 결과들을 회피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학교생활이나 직업에서 맡은 바 책임을 다하지 못할 때 이를 본인의 탓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부모나 환경 탓을 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된다.
2. 남 탓하기 : 자신으로 인해 누군가가 겪고 있는 고통에 대해서 다른 사람에게 그 책임을 지우려 하는 것이다. 폭행을 저지른 범죄자가 피해자가 맞을 만한 이유가 있어서 때렸다고 주장하거나, 강간 범죄자가 피해자가 밤늦은 시간에 술에 취한 채 혼자 다녀 사건을 초래했다고 주장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된다.
3. 정당화하기 : 잘못을 정당화하는 이유들을 열거함으로써 죄책감을 피하는 것이다. 부인을 수시로 폭행하는 폭력적인 남편이, 부인이 밥상을 차리지 않았다거나 자신의 말을 무시한다는 등 폭행에 대한 (본인이 생각하기에 정당한) 이유를 나열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4. 재정의하기 : 초점을 다른 사람에게로 옮기거나, 대화의 주제를 본인이 잘 모르거나 대답하기 곤란한 것에서 쉽고 편안한 것으로 바꾸는 것, 혹은 어떤 상황이 긍정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다른 이름을 부여하는 것 등을 일컫는다. 경찰이 사건에 대한 진술을 요구할 때 범죄자가 자신에게 불리한 부분은 넘어가거나 꾸며낸다든지, 혹은 부인을 폭행하는 남편이 이를 '애정 표현'으로 지칭한다거나 자식들에게 가하는 폭력을 '사랑의 매'로 미화시키는 경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5. 극도의 낙관론

구체적인 행동 계획이 없이 비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극단적으로 희망적인 혹은 마술적인 사고를 일컫는다. 영화<몬스터>에서 아무런 학위나 경력 등이 없는 Aileen Wuornos가 무작정 자신이 변호사가 되겠다고 말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6. 거짓말 : 사실의 날조를 통한 기만의 과정으로, 크게 다음의 세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1) 거짓을 범함(Commission) : 그야말로 진실이 아닌 것을 지어내는 것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거짓말이 이에 해당한다.
2) 생략: 절반의 진실만을 이야기하는 등 진실의 특정 부분을 누락함으로써 결과를 조작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3) 동의 : 자신이 믿지 않거나 동의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 겉으로는 긍정적으로 반응함으로써 누군가에게 동의하는 것처럼 위장하는 것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집단 강간 상황에서 범행을 주도하는 주범에게 속으로는 내키지 않으나 겉으로는 동조하고 격려하는 것처럼 공범들이 행동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죄자 프로파일링-2  (0) 2024.02.26
범죄자 프로파일링-1  (0) 2024.02.25
범죄심리학의 정의-3  (0) 2024.02.25
범죄심리학의 정의-1  (0) 2024.02.23
범죄심리학 - 심리학의 정의와 목표  (0) 2024.02.21